루이비통의 일생과 업적
루이 비통의 태생은 귀족적 DNA로 부터 출발하며 여행 트렁크를 만드는 기술과 그 헤리티지는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루이 비통의 정식 회사명인 Louis Vuitton Malletier에서 Malletier는 Malle을 만드는 사람이라는 뜻인데,
여기서 Malle이 트렁크를 뜻합니다. 한국에서는 가장 유명한 명품 브랜드 중 하나로 인식되어 있고,
카테고리별로 자체 공방을 가지고 있으며 외주생산을 하지 않는 매우 스펙트럼이 넓은 브랜드입니다.
다만, 밑의 설명을 봐도 과연 그렇게 받아들일 수 있는지는 개인의 생각에 달려있습니다.
명품으로서 높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보단 과도한 상업화로 인한 여러 논란이 있기 때문입니다.
루이 비통의 역사는 18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821년 프랑스 안쉐라는 작은 마을의 한 목공 집안에서 태어난 루이 비통은 어렸을 때부터 자연스레 목공기술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루이비통은 어렸을 적부터 파리에 대한 동경심이 있었는데 14살이 되던 해 집을 나와 파리로 떠나게 됩니다.
돈 한 푼 없었던 루이 비통은 400km가 넘는 거리를 걸어서 갔는데 16살이 되던 1837년 드디어 파리에 도착했습니다.
이후 당시 파리에서 가방 제작으로 유명세를 떨치던 무슈 마레샬 아래에서 수습생으로 일하기 시작했습니다.
루이 비통의 섬세하고 특별한 기술은 곧장 유명해졌고 귀족들 사이에서도 이름을 알리게 됩니다.
많은 양의 짐을 싸는데 탁월한 기술을 갖췄던 루이 비통은 프랑스 왕실 황후 외제니 드 몽티조의 전담 패커로 일하기 시작했습니다. 외제니 황후의 후원하에 파리 뇌브 데 카푸신 4번가에 자신의 이름을 건 포장 회사를 개업했습니다.
이는 오늘날 루이 비통의 뿌리가 되는 회사가 됩니다.
당시 트렁크는 현대에서 흔히 만들어지는 사각형이 아니었습니다.
볼록하게 생겨 차곡차곡 쌓기 힘든 모양새였는데 루이 비통의 트렁크는 평평하게 만들어져 마차에 쌓기 편리한 구조였습니다. 모양 뿐만 아니라 기존의 나무 재질에서 루이비통만의 목공기술을 살려 특별 제작한 그레이 트리아농 캔버스라는 소재로 만들어져 가볍기도 했고요.
이러한 혁신적인 트렁크는 엄청난 성공을 거뒀고 기존 매장에서 수요를 감당할 수 없자 1859년 파리 근교 아니에르에 공방을 세우게 됩니다.
아니에르에 있는 이 트렁크 공방은 지금까지도 트렁크 제작을 하는 아주 특별한 장소로 남아있습니다.
1885년에는 영국 런던 옥스퍼드 거리에 매장을 열면서 첫 해외지점도 오픈했습니다.
루이 비통의 획기적인 기술과 명성은 아들 조르쥬 비통에게도 이어졌는데
1886년 소매치기들이 가방을 쉽게 열지 못하도록 가방에 자물쇠를 부착하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만들어냅니다.
너무나도 완벽한 기술이었기 때문에 잠금장치 기술은 아직까지도 요긴하게 쓰이는 중 입니다.
루이비통의 대성공으로 그레이 트리아농 캔버스의 모조품들이 판을 치자 1888년 새로운 재질의 제품을 개발하게 됩니다.
이때 나온 것이 루이비통의 대표적인 제품인 다미에 캔버스이며, 다미에 캔버스의 모조품들도 끊임없이 나오자 1896년 루이비통의 상징적인 패턴 모노그램 캔버스가 탄생했습니다.
루이비통의 평가
루이비통은 오랜 기간 동안 세계 명품 브랜드 중총매출 1위의 브랜드이며, 명품 브랜드 중에서도 대명사 격으로 통하는 브랜드입니다.
2019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1위 명품 브랜드로 뽑혔는데요 샤넬, 에르메스와 함께 세계 3대 명품 패션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LVMH (루이비통 모엣 헤네시)라는 초대형 시계/의류/주류 그룹의 자회사인데 역시 이 LVMH의 자회사인 모엣 샹동에서는 퀴베 돔 페리뇽이라는 샴페인도 만들고 있으며 헤네시는 김정일이 좋아했다는 코냑으로 유명합니다.
그리고 적극적으로 명품 브랜드를 집어삼키기로 유명하다. 톰 포드 시절 구찌를 집어삼키려다 실패하기도 했으며,
펜디, 크리스챤 디올, 지방시, 벨루티, 셀린느, 불가리 등 많은 명품 브랜드들을 인수했습니다.
가족 경영으로 유명한 명품 중의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도 호시탐탐 노리고 있지만 다행히도 뒤마 일가는 팔 생각이 없는 듯하네요.
이 모든 것은 LVMH의 회장 베르나르 아르노 때문인데 비통 일가가 이 사람한테 주도권을 넘긴 것을 그렇게 후회하고 있다고 합니다.
베르나르 아르노는 최근 명품 브랜드들이 장인정신이나 퀄리티보다 매출과 이익에 집중하게 만드는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입니다.
중국과 같이 인건비가 싼 곳에서 90% 만든 후 프랑스나 이탈리아에서 완성만 하여 Made in France, Made in Italy라고 붙일 수 있게 한다든지 하는 사기성 짙은 전략 등은 모두 다 베르나르 아르노가 먼저 시작한 것입니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루이 비통은 공장 생산으로 돌리기 시작한 샤넬과 더불어 에르메스와 격차가 많이 벌어졌습니다.
다만, 명품 브랜드로서의 정체성과 품질에는 많은 비판을 받아도 상업화로 인한 성과는 위대합니다.
브랜드 가치 순위는 항상 루이비통이 석권하고, 매출도 1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은 이러한 상업화, 대중화 정책 병행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루이비통 제품의 한국 인기
루이 비통은 남성복이나 여성복, 신발 등의 의류도 만들고 시계, 주얼리, 향수, 휴대폰 케이스, 열쇠고리, 연필, 필통, 볼펜, 수첩, 여행 가이드 등등 이것저것 다 만들며, 가방이나 지갑의 디자인도 모노그램 패턴 디자인이 아닌 다미에, 아주르, 에삐 등 여러 가지 패턴 디자인 제품이 있습니다.
가방에 의한 매출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심하게 가방만 팔렸다고 합니다.
2018년 이후로 의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하이엔드 카테고리(워치 주얼리, 향수, 트렁크, 악어백 등) 성장에 집중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한국에서도 인기가 많아서 길거리를 걸어가거나 지하철을 타면 루이비통 가방을 꽤 많이 볼 수 있었던 때 가 있었습니다.
또한 스피디 백 같은 경우 길을 가다가 3초마다 한 번씩 보인다고 하여 2010년대 초반에는 '3초 가방'이나 한국에서 가장 흔한 여성 이름인 '지영이 백'이라는 별명도 붙었었습니다.
물론 전문가나 예민한 사람이 아닌 이상 모조품인지 진품인지는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사실 고가의 루이비통 백이 아무나 쉽게 살 수 있는 가방도 아니고 길거리에 저 정도로 흔한 것이 말이 안 되기는 하는데, 모조품이 많은 것 또한 루이비통의 모노그램 백이 흔하게 보이는 현상에 일조했습니다.
루이비통의 가방
PVC 모노그램 라인
모노그램 패턴의 알마 백
알마 백은 루이비통의 경쟁 브랜드인 샤넬의 창립자인 코코 샤넬이 루이비통에 자신이 데일리 백으로 이용하기 위한 가방 제작을 의뢰해서 탄생한 가방입니다. 알마 백의 가격대는 사이즈와 가방 원단의 종류 별로 182만 원부터 수천만 원대까지 다양합니다.
다미에 패턴의 스피디 백
루이비통의 클래식 가방 중 하나이며, 역사가 굉장히 오래된 백입니다. 그만큼 긴 시간 동안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네오 노에 백
노에 백을 새롭게 디자인해 출시한 버킷 백으로 출시 후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제품입니다.
포쉐트 메티스 백
PVC모노그램 패턴의 포쉐트 메티스는 인기도 많고 입고도 많지 않아서 루이비통 가방 중 정말 구하기 힘든 제품입니다.
록키 BB 백
록키 BB 백은 2019년 출시되었으며, 상당히 작은 크기의 미니 백입니다. 처음 출시되었을 때는 모노그램 블랙 색상은 2달을 기다려야 제품을 받을 수 있을 만큼 인기가 상당했습니다.
미니 도핀 백
2019년 출시 후 루이비통에서 상당히 밀고 있는 모노그램 백입니다. 그런 만큼 가격도 PVC를 쓴 가방 치고는 비싼 편입니다.
클래식 라인
트위스트 백
가방의 중앙에 위치한 V자 잠금장치를 돌려서 잠금을 풀 수 있는 가방이라 트위스트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V자 잠금장치를 돌리면 루이비통의 시그니처 로고인 LV가 겹쳐져 있는 모양이 됩니다.
시티 스티머 백
2016년 출시된 핸드백이며, 경쟁사인 에르메스의 버킨백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는 가방입니다.
악어가죽으로 제작된 제품은 3,605만 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카퓌신 백
루이비통의 첫 번째 매장이 위치한 카퓌신 거리에서 이름을 따와서 이름을 지은 가방이며, 루이비통의 장인 정신을 상징하는 최고급, 초고가 핸드백 라인업입니다.
카퓌신 라인업의 가격은 가장 작은 미니 사이즈가 540만 원, BB 사이즈가 617만 원, PM 사이즈가 634만 원, MM 사이즈가 666만 원, GM 사이즈가 789만 원입니다. 저기서 핸들이 뱀피로 되어있거나 장식이 추가된 모델은 가격대가 더 올라가며, 수 천만 원대 이상의 제품도 있습니다.
쁘띠드 말 백
쁘띠드 말 백은 판매량은 크게 높지 않지만 루이비통에게는 꽤나 상징성 있는 제품입니다. 루이비통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트렁크를 핸드백 사이즈로 줄여서 파는 가방인데, 가격은 600만 원대입니다.
한국 내 루이비통 매장
루이비통을 입점 시킨 백화점은 그래도 그 지역에서 상위급 백화점에 든다고 할 수는 있는데, 추가적으로 같은 루이비통 매장이라 하더라도 잡화만 취급하느냐 의류(레디투웨어)까지 취급하느냐에 따라 해당 백화점의 위상을 가늠하는 척도가 됩니다. 한국에 있는 백화점 내 루이비통 매장은 총 22개입니다.
특이한 점은 일반 면세점에만 입점하고 공항에는 들어가지 않았는데 전 세계에서 최초로 신라면세점과 계약을 체결하고 인천 국제공항에 입점했습니다.
호텔신라 이부진 사장이 LVMH 회장 내한 때부터 바짝 따라다니며 설득에 설득을 거듭한 끝에 겨우 입점시켰다고 합니다.
루이비통은 공항의 번잡한 환경에선 제품을 제대로 느낄 수 없다며 이미지가 훼손된다는 모종의 이유로 그동안 공항 면세점 입점을 꺼렸다고 합니다.
2015년 들어서 루이비통이 포함되있는 5구역을 롯데면세점에 뺏기면서 이부진 사장이 그렇게나 공을 들인 루이비통 공항 면세점은 통으로 롯데에 넘어갔습니다.
그리고 2018년 8월 1일 기준으로 이부진 사장의 시촌인 정유경 사장이 이끄는 신세계면세점으로 구역이 넘어갔습니다.
국내 면세점 매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 롯데면세점 (명동 본점, 월드타워점, 부산점, 제주점)
- 신라면세점 (서울, 제주)
- 신세계면세점 (명동점, 인천공항점)
면세품은 내국인의 경우 3000$까지만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면세점에는 없는 제품들이 꽤 있습니다.
면세점에 없는 물건이 많기도 하고 프랑스 현지가 더 저렴한 경우가 많아 대부분 프랑스 가서 하나씩 사 가지고 들 온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뭐 엄청 저렴한 건 아니지만 유로 환율에 따라 다르지만 10~20만 원 정도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기타 TMI
- 경쟁사인 샤넬과 함께 가격 인상이 굉장히 잦은 명품 브랜드입니다.
매년 인상을 진행하며, 2019년에는 2번의 가격 인상을 진행하였고, 2019년 11월에 가격 인상을 진행한 후 2020년 2월 남성용 라인업의 가격을 인상한 후, 2020년 3월에 또 가격 인상, 그리고 2020년 5월 또 한 차례 인상을 했습니다. (너무 자주 올리는 건 아닌지..)
- 유럽에서 있었던 선박 침몰 사고 이후 루이 비통에서 나오는 캐리어는 어느 정도 부력을 갖게끔 설계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 내용이 소년탐정 김전일 에피소드에 엑스트라의 발언이 되기도 했습니다.
- 2019년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에서 스폰서로 트로피의 케이스를 제작하여 선보였습니다.
이 트로피는 25명의 장인과 기술자가 9백 여 시간에 걸쳐 완성한 케이스라고 합니다.
'브랜드, 알고나면 더 좋아질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 로랑, 그가 남긴 새로운 트렌드 (0) | 2021.05.23 |
---|---|
크리스챤 디올, 다양한 길에 마주한 끝에 선택한 길 (1) | 2021.05.22 |
티에리 에르메스, 에르메스 명품의 시작은 승마용품 부터 (2) | 2021.05.21 |
샤넬, 샤테크를 부르는 샤넬의 마케팅 전략 (1) | 2021.05.20 |
구찌오 구찌, 지금의 구찌가 되기까지의 시행착오와 성공 (0) | 2021.05.18 |